
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1. 블로그 자료 활용: 국가기록원 간행물을 블로그에서 수집한 경우, 발행처(국가기록원)와 작성자(국가기록관리 혁신T/F)를 명시하고 보고서 형식으로 작성해주세요.
2. 업무편람/매뉴얼: 공공기관 간행물은 보고서 형식으로 작성하되, 정기 발행 여부에 따라 단행본 또는 보고서로 구분합니다.
3. 법률 인용: 여러 조항을 인용할 때는 "대한민국헌법 제10조, 제54조, 제55조"처럼 간결하게 작성하며, [별표]는 "공공기록물법 시행령 [별표1]"로 표기합니다.
4. 정보공개청구 자료: 생산기관, 연도, 제목을 명시하고 "정보공개청구 자료"로 각주에 표기해주세요.
5. 웹사이트 인용: "국회. (2024.4.18). https://www.assembly.go.kr"처럼 작성하며, 참고문헌에서 접근일자를 명시해주세요.
모든 출처 스타일 가이드는 일관된 규칙으로 출처를 표기하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독자가 출처정보를 획득하는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관된 표현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시카고 스타일의 경우, 각주와 그에 짝을 이루는 참고문헌(카피킬러 출처표기법에서는 '각주-참고문헌'이라고 표현) 그리고 내주와 그에 짝을 이루는 참고문헌('내주-참고문헌'이라고 표현)을 사용하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각주와 내주를 섞어 표현하는 것은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무분별하게 섞어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면 각주와 내주를 혼용해도 특별히 문제되지 않습니다.
말씀해주신 '2016 이용만족도'와 같은 표현은 자주 사용하는 표현인 '상용구문'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용구문이 워낙 다양하고 학문분야, 주제마다 다르기 때문에 100% 제거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습니다.
카피킬러 표절검사에서는 이런 상용구문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표절검사에 포함되지 않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고객센터로 문의해주시면 친절하게 응대해드리고 있습니다.
카피킬러 표절검사는 각주 또는 내주로 작성한 문장을 자동으로 출처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만약 표절검사 결과에서 출처를 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표절영역으로 나타난다면 출처표기가 정확히 되었는지를 확인하시거나, 카피킬러 고객센터(1588-9784 또는 help@copykiller.com)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번역서 표기방법의 저자 표시는 일반적인 출처 표기와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번역자명은 괄호 안에 표시합니다.
저자명(출판연도), 표제: 부제 (번역자, 역). 출판사. (원본 출판 0000년)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