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과 답변
각주표기법에 따라 작성하다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부득이하게 문의사항이 많은 점 미리 죄송하다는 말씀드립니다.
현재 APA양식으로 논문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1. https://blog.naver.com/ssbnet/223375803131
해당 링크에서 국가기록원이 발간한 간행물을 다운받아 논문에 참고하였는데요
해당 자료는 국가기록원에서 발간한 자료는 맞으나,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제공하고 있지 않아 블로그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습니다.
이를 참고문헌에 정기간행물로 봐야할지, 보고서로 봐야할지 궁금합니다.
또한 자료 맨 마지막에 발행처는 적혀있으나 작성자는 따로 적혀있지 않는데, 표지의 아래 국가기록관리 혁신T/F를 작성자로 봐도 될지 궁금합니다.
2. 이외에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기관의 업무편람, 기록관리 매뉴얼 등 간행물들은 어떻게 작성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정기적으로 발행되는 정기간행물은 아닌 것 같은데, 단행본이나 보고서에도 해당되지 않아 궁금합니다.
3. 법률인용 문의
가. 법률을 각주로 기재할 때, 1)과 같이 기입하고 있는데, 만약 한 문장안에 여러 조항의 내용이 들어갈 때 2)와 같이 적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1)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20309호, 제3조.
2) 대한민국헌법. 제10호, 제54조, 제55조, 제58조, 제59조.
나. 법률에 참고할 때, [별표] 참고하는 경우 각주를 어떻게 달아야 할지 궁금합니다. 예로, “공공기록물법 시행령 제26조(보존기간) ①기록물의 보존기간은 영구, 준영구, 30년, 10년, 5년, 3년, 1년으로 구분하며, 보존기간별 책정기준은 별표 1과 같다. 다만, 수사ㆍ재판ㆍ정보ㆍ보안 관련 기록물은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보존기간의 구분 및 그 책정기준을 달리 정할 수 있다.”
위에서 제가 [별표1]를 참고하는 경우 1)과 같이 적어야할지 2)와 같이 적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1)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4487호, 제26조 (보존기간) ①기록물의 보존기간은 영구, 준영구, 30년, 10년, 5년, 3년, 1년으로 구분하며, 보존기간별 책정기준은 별표 1과 같다. 다만, 수사ㆍ재판ㆍ정보ㆍ보안 관련 기록물은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보존기간의 구분 및 그 책정기준을 달리 정할 수 있다.
2)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4487호, [별표1]
4. 국가기록원의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과거에 작성된 공문서를 받아 참고하였는데, 어떻게 각주 및 참고문헌을 달아야 할지 궁금합니다. 생산기관, 생산연도, 제목정보를 알고 있습니다.
5. 저번에 제안요청에 대한 문의를 드리고 답변대로 각주를 달았습니다.
1) 국가기록원. (연도). 국가기록원 기록물 평가정책 연구 [제안요청서]. 나라장터. https://www.g2b.go.kr
그리고, 제가 논문에 웹사이트에 작성된 내용을 참고할 경우
2) 국회. (2024.4.18). https://www.assembly.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600158
와 같이 각주를 쓰고, (괄호)에는 접근일자를 기입하였습니다.
1)과 2)의 사례를 옳게 작성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옳게 작성하였다면 논문 마지막 참고문헌을 작성할 때는 어떻게 작성하는지 궁금합니다. 기존의 apa형식으로 작성된 논문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작성하던데, 제안요청서를 참고한 나라장터의 경우 어떻게 기재하는지 궁금합니다.
<웹페이지>
국회. 검색일자: 2024.04.18. https://www.assembly.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600158
1. 블로그 자료 활용: 국가기록원 간행물을 블로그에서 수집한 경우, 발행처(국가기록원)와 작성자(국가기록관리 혁신T/F)를 명시하고 보고서 형식으로 작성해주세요.
2. 업무편람/매뉴얼: 공공기관 간행물은 보고서 형식으로 작성하되, 정기 발행 여부에 따라 단행본 또는 보고서로 구분합니다.
3. 법률 인용: 여러 조항을 인용할 때는 "대한민국헌법 제10조, 제54조, 제55조"처럼 간결하게 작성하며, [별표]는 "공공기록물법 시행령 [별표1]"로 표기합니다.
4. 정보공개청구 자료: 생산기관, 연도, 제목을 명시하고 "정보공개청구 자료"로 각주에 표기해주세요.
5. 웹사이트 인용: "국회. (2024.4.18). https://www.assembly.go.kr"처럼 작성하며, 참고문헌에서 접근일자를 명시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