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참고문헌 글씨체 문의드립니다.

참고문헌 작성 시 한국어 자료와 영어 자료의 강조를 다르게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어 자료의 제목은 볼드체(진하게)로 강조, 영어 자료는 이탤릭체로 강조하여 작성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한국에서 번역된 서적의 경우 어떻게 표기하나요?

안녕하세요. 카피킬러 고객센터입니다.

 

번역서의 출처를 어떻게 표기해야 하는지를 문의하셨습니다.

 

특정 스타일을 언급하지 않으셨기 때문에 카피킬러에서 제공하고 있는 스타일 중 하나인 시카고 스타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만약 작성하고 계신 글을 제출하는 경우라면 제출하는 기관의 작성방식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제출하는 기관의 출처 작성 방식이 있다면 해당 방식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안내해드리는 시카고 스타일을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시카고 스타일: 번역서]

1. 각주

각주는 본문에 각주 번호가 있어야 하고 번호가 붙은 문장이 있는 페이지 바닥글에 각주번호와 출처를 작성해야 합니다.

아래의 예시는 각주 번호가 1번인 경우입니다. 

도서명이 이탤릭체인 것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1. Dileep R. Sule, 일정계획이론, 문기주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2. 원문은 Industrial Scheduling (n.p.: PWS Publishing Companty, 1997).

 

2. 참고문헌

    Sule, Dileep R. 일정계획이론. 문기주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2. 원문은 Industrial Scheduling (n.p.: PWS Publishing Companty, 1997).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질문과 답변 게시판이나 고객센터 (1588-9784)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각주에서 보충주(내용주 성격) 작성시 보충주의 출처 표기법(시카고 스타일)

<출처>는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표기방법입니다.

다만, 소속된 학교/기관에서 해당 출처표기 방법을 활용중이시라면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대부분의 출처표기법은 출처 작성 시 ()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1. 각주 내에도 출처를 작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문장 끝에 ()를 활용합니다.

2) Bass continuo[바소 콘티누오] 통주저음(thoroughbass) : 바 로크 시대에 널리 행해졌던, 특수한 연주형태를 지닌 저음 파트를 말한다. 당시의 건반악기 주자는 주어진 저음부의 선율 위에 즉흥적으로 오른손 성부를 만들면서 반주했다. (삼호뮤직. (2002).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서울)

 

2. 여러 인용을 결합하는 경우 ;로 구분합니다.

삼호뮤직. (2002).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서울; 삼호뮤직. (2002).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서울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