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그림,표 출처 표기법과 참고문헌 목록의 배열 순서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한국은 학술분야에 맞게 전세계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4가지 출처표기법을 적절히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정확한 표기법이 맞다 아니다보다는 기본에 충실하되 분야에 맞게 적절히 표기법을 변조하여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1. 예시로 작성 하신대로 표의 하단에 00 연구소(2020)으로 표기하는 것도 좋지만

표를 가지고 온 문서의 제목은 표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시카고 스타일의 참고 문헌의 정렬은 ABC 순 입니다.

 다만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국내 문헌 가나다 순 →국외 문헌 순 ABC 순으로 작성하는 방식을 많이 채택하고 있습니다. 

 

논문 그림 출처 여쭙니다.

각 학교나 평가자(기관)마다 표절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다르기에 답하기 어렵습니다.
보다 정확한 기준은 논문을 제출한 곳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사항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엮은이 입력

안녕하세요 카피킬러 고객센터 입니다. 

 

엮은이라면 번역자를 말씀 하시는걸까요? 

 

인용을 할 때에는 항상 문헌에 표기된 대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따라서 참고문헌 상의 저자명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번역본의 경우 역자가 있기 때문에 역자도 표시해야 합니다.

 

역자는 표제 뒤에 위치합니다.

 

주신 예시를 가지고 바른 표기를 아래와 같이 제시해드립니다.

 

   고야스 미치코. (2011). 슈타이너 학교의 참교육 이야기(임영희,이연현). 서울, 밝은누리

 

문의사항에 답변이 되었길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 주세요.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