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APA 양식] 성경인용은 어떻게 내주, 참고문헌 표기하나요?

문의하신 성경을 간접인용한 경우 인용부호 " " 표기 후 출처표기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성경의 APA 스타일 출처표기법은  자료형태를 단행본 기준으로 작성할 것을 권장드리며,

아래의 출처표기법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APA 출처표기법] 

한국어 APA 단행본 / 내주

(저자, 출판연도)

 

한국어 APA 단행본 / 내주-참고문헌

저자. (출판연도). 단행본명. 서울: 출판사. 

 

또한 디모데전서 3:5 표기를 원하실 경우 참고문헌 목록에서 해당 출처의 마지막에 표기하시기 바랍니다.

 

[예시] 

대한성서공회. (2019). 개역한글 성경전서. 서울: 아가페출판사. 디모데전서 3:5.

 

 

 

 

재인용이 뭔가요?

어떤 문헌에서 다른 문헌을 인용했을 때, 그 인용한 문장을 다시 인용하면 이는 재인용이 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인간은 패배하도록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인간은 파괴될 지 언정 패배할 수는 없어'

 

여기서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를 인용한 것이 아니라, 위 글에서 나온 노인과 바다를 인용했다면, 이것을 재인용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스타일 가이드에서 재인용은 좋지 않은 방법이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정말 피치못할 사정으로 원문이 유실되었거나 구할 수 없을 경우엔 재인용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여러개의 자료에서 공통적인 내용이 나온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1개의 인용문의 출처가 다수일 경우 최초의 내용을 언급한 자료를 원문으로 보고 출처를 기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러나 문의하신 사항은 여러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나왔다는 언급이 필요하여 출처표기를 원하시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만약 공통적인 의견이 나온 내용에 대한 언급이 필요하여 작성해야 한다면

공통적인 의견을 포함했다는 내용을 본문에 기재하고, 각주는 1개만 작성 후 참고문헌에 나머지 출처 정보도 추가로 기재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정된 분량이 있는 과제로 평가자의 인용/출처 표기에 관한 별도의 권고사항이 없다면 위 안내대로 출처를 작성하셔도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