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표 일부만 발췌해올 경우, 표 디자인만 바꿔서 인용할 경우

1. 일부 발췌에 대한 규정은 따로 없습니다. 표 전체를 인용할 때와 같은 형식으로 출처를 표기해주세요.

2. 재구성에 대한 규정은 따로 없습니다.

   출처표기 방법은 기준이 되는 형식을 중심으로 각 제출처 혹은 기관에서 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해당 기관 혹은 제출 기관의 출처표기 형식을 참고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정부 소책자 참고문헌 작성에 대하여

문의하신 정부 소책자의 자료형태는 단행본, 웹사이트, 정기간행물인지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일회성으로 발행한 인쇄물인 경우 단행본으로 볼 수 있으나, 해당 문서가 온라인상에만 공개가 되어있다면 웹사이트로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문서인 경우 정기간행물로 볼 수 있으며,

정확한 해당 문서의 자료형태에 관한 사항은 발행기관인 환경부 화학물질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행정규칙 인용하기

행정 규칙은 행정주체가 제정한 법규의 성질을 가지지 않은 일반적인 규정으로 법령과 동일한 형식을 띌 필요는 없습니다.

웹페이지를 통해 접근하셨다면 웹페이지 출처표기법을 작성하셔도 무방합니다.

 

작성자가 작성 중인 문서 특성에 따라 판단해 선택할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