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apa 형식

1)APA 웹페이지 형태로 출처 표기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하단에 출처 표기 방법 예시 드리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APA 웹페이지 형태 출처 표기법]

한국어 APA 웹페이지 / 내주

(의료기관평가인증원, 발행연도)

 

한국어 APA 웹페이지 / 내주-참고문헌

2020년 환자안전 통계연보 . (발행연도). https://www.kops.or.kr/portal/board/stat/boardList.do.

 

2)6th edition 기준으로 생성되고 있으며 2021년 내 7th edition으로 개선 예정입니다.

 

3)김진영, 차지영. (2018). 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의 낙상에 대한 건강 신념이 낙상 예방 수행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Acad Fundam Nurs , 25(3), 155-164.

위 문장으로 출처 표기해 주세요.

인용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카피킬러 고객센터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은 재인용과 관련된 것으로 보입니다.

 

저자 김남희, 박경미가 2008년에 작성한 논문이 1차문헌이고, 1차문헌을 참고한 것은 2차문헌입니다.

이 때 '2차문헌에서 언급한 1차문헌의 내용'을 인용한다면 이는 '재인용'이 됩니다.

 

재인용은 어떤 분야에서나 권장하지 않는 인용 방법입니다. 가능하면 1차문헌을 직접 참고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김남희, 박경미 저자의 문헌을 확보하여 인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1차문헌의 소실이나 다른 이유로 1차문헌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재인용이 가능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고객센터로 문의해주시거나 질문과 답변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세요.

그림,표 출처 표기법과 참고문헌 목록의 배열 순서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한국은 학술분야에 맞게 전세계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4가지 출처표기법을 적절히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정확한 표기법이 맞다 아니다보다는 기본에 충실하되 분야에 맞게 적절히 표기법을 변조하여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1. 예시로 작성 하신대로 표의 하단에 00 연구소(2020)으로 표기하는 것도 좋지만

표를 가지고 온 문서의 제목은 표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시카고 스타일의 참고 문헌의 정렬은 ABC 순 입니다.

 다만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국내 문헌 가나다 순 →국외 문헌 순 ABC 순으로 작성하는 방식을 많이 채택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