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역서 표기법

APA 출처표기 형식은 주로 내주 방식을 사용하여 본문에서 간략하게 출처를 밝히고

문서 말미 참고문헌 나열 부분에서 상세한 출처를 밝힙니다.

따라서 본문 내주 출처표기와 참고문헌 모두 표기해주셔야 합니다.

 

APA형식 도서 출처표기 형식입니다.

 

APA 본문 내주 형식

(저자, 발행년도, 인용면수)

 

APA 참고문헌 형식

저자. (발행년도). 책 제목 (번역자 이름, 번역) (Edition). 게시자.

행정규칙 인용하기

행정 규칙은 행정주체가 제정한 법규의 성질을 가지지 않은 일반적인 규정으로 법령과 동일한 형식을 띌 필요는 없습니다.

웹페이지를 통해 접근하셨다면 웹페이지 출처표기법을 작성하셔도 무방합니다.

 

작성자가 작성 중인 문서 특성에 따라 판단해 선택할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재인용이 뭔가요?

어떤 문헌에서 다른 문헌을 인용했을 때, 그 인용한 문장을 다시 인용하면 이는 재인용이 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인간은 패배하도록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인간은 파괴될 지 언정 패배할 수는 없어'

 

여기서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를 인용한 것이 아니라, 위 글에서 나온 노인과 바다를 인용했다면, 이것을 재인용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스타일 가이드에서 재인용은 좋지 않은 방법이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정말 피치못할 사정으로 원문이 유실되었거나 구할 수 없을 경우엔 재인용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