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DOI와 DOI없는 경우(APA 7판 기준으로)

1. DOI가 있는 경우 함께 표기하는 것을 우선 권장합니다.

 

2. 논문이 검색으로 확인되기 어려운 경우 URL을 추가 작성하실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학위, 학술논문은 URL 표기를 뒤에 덧붙여 사용하는분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이는 저자의 판단에 따라 작성할 수 있겠습니다. 

 

3. 볼드처리는 APA 출처표기 방법이 아닙니다.

국내에서는 출처표기를 활용해 응용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학교나 소속된 기관이 사용하는 표기방법을 따라 작성하셔도 무방합니다.

카피킬러 라이트 사용 시 기준 연도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카피킬러 고객센터입니다. 

 

1. 이미 게재된 문서의 경우 카피킬러 DB에 포함되어 표절률이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2. 문서 발표 이전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검사를 진행하는 기능은 따로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대신에 검사가 종료된 이후 특정 비교문서를 제외하는 기능은 '카피킬러 채널', '카피킬러 캠퍼스', '카피킬러 스쿨'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카피킬러 라이트'에서는 해당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문의자분께서 해당 문서를 제외한 표절률을 알고 싶으신 것이 맞다면, '카피킬러 채널' 혹은 '카피킬러 캠퍼스'에서 검사 후 비교문서 제외 기능을 통해 원하는 표절률을 알 수 있습니다.
문의사항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에 있는 내용 참고 하는 경우

1. 웹사이트에서 '출판일자'는 웹사이트가 생성된 날짜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 웹사이트가 생성된 날짜를 알지 못한다면 'n.d.'로 표시하시면 됩니다. 

 

출처생성기에서는 'n.d.'를 따로 입력할 필요없이, 입력란을 공백으로 두면 자동으로 'n.d.'가 입력됩니다. 

웹페이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고 어떤 웹사이트에 게시된 게시물도 같은 방식으로 작성합니다. 

 

출처생성기에서 웹사이트를 인용하려면 '저자'를 입력해야 하는데, 이는 사이트의 웹마스터 이름이나 해당 사이트를 소유하고 있는 회사 또는 단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표제는 웹페이지명을 입력하고, 사이트명에는 웹사이트의 이름을 입력하면 됩니다.

만약 웹페이지가 아닌 웹사이트만 인용하고 싶다면 표제와 사이트명을 동일하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