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책 번역본 참고문헌 작성법

인용하는 단행본이 순수이성비판1일 경우 책제목은 '순수이성비판1'로 표기 하시기 바라며,

순수이성비판2일 경우에는 '순수이성비판2'로 표기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APA 스타일로 순수이성비판1에 대한 출처 표기 예시 작성해 드리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APA 스타일 단행본 출처 표기 예시]

한국어 Chicago 단행본 / 각주

임마누엘 칸트, 백종현(역), 순수이성비판1 (출판지: 아카넷, 2006), 인용면수.

 

한국어 Chicago 단행본 / 각주-참고문헌

임마누엘 칸트, 백종현(역). 순수이성비판1. 출판지: 아카넷, 2006.

 

한국어 Chicago 단행본 / 내주

(임마누엘 칸트, 백종현(역) 2006, 인용면수)

 

한국어 Chicago 단행본 / 내주-참고문헌

임마누엘 칸트, 백종현(역). 2006. 순수이성비판1. 출판지: 아카넷.

사건을 담은 신문기사를 인용할 때 각주를 굳이 달지 않아도 되나요?

신문 기사 내 사건 부분의 내용만 인용하더라도 신문 기사에 대해 출처 표기를 해주셔야 하며, 원칙적으로 각주와 참고문헌을 모두 표기 해주셔야 합니다.

신문 기사를 인터넷에서 보셨다면 웹페이지 형식으로 출처 표기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출처 표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출처 표기법의 웹페이지 항목을 참고하여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표절검사의 기준 카피킬러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카피킬러고객센터 드림

웹페이지명, 사이트명을 어떻게 표시해야 할까요?

출처표기의 목적은 독자가 출처표기를 확인하고 해당 자료에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함입니다.

보다 상세한 출처를 표기하기 위해 출처생성기 > 웹페이지명에 '시사상식사전 챗GPT'로 입력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