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넷플릭스의 영상(드라마처럼 회차가 나뉘어진 것)은 어떻게 출처 표기를 하나요?

" 에피소드 제목 ." TV 프로그램 제목 , 작성자 이름 성 , 시즌 번호 , 에피소드 번호 , 제작사 또는 배급사 , 연도 . 사이트 이름 , URL .

예시 : “Middle Game.” The Queen’s Gambit, episode 4, Flitcraft, 2020. Netflix, https://www.netflix.com/watch/80234304.

출판사가 어디인지 잘 모르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인용하는 리포트가 매년 정기적으로 간행되는 문서라면 정기간행물 형태로 출처 표기 하는 방법을 권장 드립니다.

정기간행물 형태에서는 저자,표제,간행물명,권,수록면수가 필수 사항이고 출판사 파악이 불분명할 때는

생략 후 출처 표시 하시기 바랍니다.

출처표기 일관성

안녕하세요 카피킬러 고객센터 입니다. 

 

문의주신 표기방법은 간접인용 내주 표기 (내주+참고문헌) 방식이신듯 힙니다. 

 

내주 표기의 정석적인 방법은 ' 박수진(2018)에 의하면 ~ 하였다. ' 가 아니라 

앞부분에 '저자(연도명)에 의하면'이라고 표현 했더라도 인용한 문장의 끝에 (박수진,2018)로 표기 하는 것입니다. 

 

카피킬러는 정석적으로 표기 된 부분들은 인용/출처 표기 문장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내주 표기 시 본문 작성 시에도 이와 같이 일관성 있게 작성 하시면 됩니다. 

 

카피킬러 고객센터 자주묻는 질문  을 참고 하시면 작성에 도움이 되실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