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apa에서 '원서'와 '번역서'를 모두 참고한 경우 어떻게 해야 할 지 헷갈립니다...ㅜㅜ

작성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으로 명확히 답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번역서의 내용을 인용했는지, 원서의 내용을 인용했는지에 따라 작성자가 판단 하여 작성해주세요.

 

1. 번역서와 원서의 출판 년도가 같은 경우 

원서는 영문 표기, 번역서는 한글표기로 작성합니다. 출판연도는 그대로 작성합니다.

 

[역서 참고문헌 작성 예시]

Csikszentmihalyi, M.(2018). 몰입 flow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최인수 역. 서울: 한울림

Barna,G. (1997). 위기에 처한 목회자 비전은 있다. 탁영철 역. 서울: 베다니 출판사.

 

[역서 내주 예시]

(Csikszentmihalyi, 2018)

(Barna, 1997)

 

 

2. 원문과 번역서의 제목이 다른 경우

각각 별도로 참고문헌에 작성하기 때문에 질문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한 문단 내용의 문장이 모두 동일한 문헌을 참고한 경우 출처 표기 방법이 궁금합니다

동일한 문헌의 같은 페이지를 참고한 경우에는 문단 끝 마지막 문장에 내주로 표시합니다.


각기 다른 페이지를 인용한 경우 첫 번째 내주에서는 (저자, 연도, 인용면수)를 모두 표시해주고

두 번째 내주부터는 인용면수만 표시합니다.

통계청의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APA 참고문헌 표기 방식

권, 호의 확인이 어려운 정기발행물은 해당 부분을 생략 한 뒤 작성하시면 됩니다.

또한 이 경우 저널명 또한 확인하기 어려움으로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있겠습니다.

 

통계청, 여성가족부. (2020).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31-35.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