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생명공학을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자료나 실험방법을 참고하는 것은 표절이 아니라 오히려 권장하는 연구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그에 대한 정확한 출처가 표시되어야 합니다.

 

가져와서 인용한 자료 또는 실험방법의 원본 출처를 만드시 표시해야 합니다.

 

출처표시 방법은 작성하는 논문의 제출처와 연구분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제출처에 문의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출처표시 방법을 알고 있다면 출처생성기에서 세계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네 가지 스타일(Chicago, APA, MLA, Vancouver)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처생성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각주 표시 위치

각주의 위치나 갯수는 문서 작성자의 판단하에 작성함이 맞겠습니다.

 

1. 인용문을 찾기 어려워 명확한 페이지 수가 전달되어야 된다고 판단 되는 경우 

직접인용1과 2를 모두 각주로 별도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2. 상대적으로 인용문을 찾기 쉽고 가독성을 위해 각주를 하나로 처리 하는 경우 

직접인용1과 2의 페이지 수 차이가 크지 않고 가독성을 위해 직접인용2에 1,2를 모두 표기할 수 있겠습니다.

이 경우 페이지 표기는 문의주신 바와 같이 25-26으로 표기됩니다.

동일 저자의 연도가 다른 자료를 내주에 인용할 때

동일 저자의 연도가 다른 자료를 인용한 경우 해당 인용문이 자료 2개에 각기 다른 내용일까요? 

 

1. 동일 저자의 연도가 다른 자료에서 인용한 내용이 동일한 경우 먼저 발간된 연도로 기재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ex) 인용문 A가 2008, 2010년에 동일하게 기재된 경우 

내주 표기법 : (김현주·김준영, 2008)

 

2. 인용문이 다른 내용인 경우 각각 인용한 부분에 내주를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ex) 인용구 A가 2008, 인용구 B가 2010년에 기재된 내용일 한 문장에 기재할 경우 

내주 표기법 : 인용구 A(김현주·김준영, 2008)  인용구 B(김현주·김준영, 2010)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