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스타일 중에 어떤 걸 써야 하나요?

소속된 기관, 글을 쓰는 주제 분야 등에 따라 사용해야 하는 출처표기 스타일이 다를 수 있습니다. 

만약 소속된 기관이나 글을 쓰는 주제 분야, 학문 분야에서 권장하는 출처표기 스타일이 있다면 그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반대로 특별히 권장하는 출처표기 스타일이 없다면 자신이 작성하는 글의 분야에 따라서 출처표기 스타일을 골라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조판

1. 신조판인 경우 책 제목 뒤에 괄호() 안에 신조판을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2. 1판 14쇄는 책 제목 다음에 마침표(.)찍고 1판으로 기재해주시기 바랍니다.

     본문의 내용이 변경된 경우 판이 달라지지만 쇄을 경우에는 1쇄와 2쇄 책의 내용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판만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앞에 문의주셨던 책 제목으로 예를 들어드리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손자병법 시공을 초월한 전쟁론의 고전(신조판)

2.삼국지 제4권 칼 한 자루 말 한필로 천리를 닫다.1판

 

문의사항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에 대한 질문

참고문헌의 동일 저자를 밑줄로 표시하는 것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아닙니다.

다만, 제출처에 따라 동일 저자를 밑줄로 표시하는 기관이 있기에 자세한 사항은 제출처의 참고문헌 혹은 원고 작성 규정을 살펴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1. 밑줄로 표시하는 것은 동일 저자인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엮은이(편집자)인 경우에는 밑줄로 표기하지 않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또한 '역'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번역자로 보일 수도 있기 때문에 '편집'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2. 공동저자인 경우에도 밑줄로 대체합니다.

 

3. 공동저자인 경우 저자명1, 저자명2 (발행 연도) 의 형식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4. 본인의 판단이 아닌 도서의 서지정보대로 작성해주세요. 도서의 서지정보에 저자로 기재되어 있다면 저자로 표기하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