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각주에서 보충주(내용주 성격) 작성시 보충주의 출처 표기법(시카고 스타일)

<출처>는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표기방법입니다.

다만, 소속된 학교/기관에서 해당 출처표기 방법을 활용중이시라면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대부분의 출처표기법은 출처 작성 시 ()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1. 각주 내에도 출처를 작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문장 끝에 ()를 활용합니다.

2) Bass continuo[바소 콘티누오] 통주저음(thoroughbass) : 바 로크 시대에 널리 행해졌던, 특수한 연주형태를 지닌 저음 파트를 말한다. 당시의 건반악기 주자는 주어진 저음부의 선율 위에 즉흥적으로 오른손 성부를 만들면서 반주했다. (삼호뮤직. (2002).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서울)

 

2. 여러 인용을 결합하는 경우 ;로 구분합니다.

삼호뮤직. (2002).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서울; 삼호뮤직. (2002).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서울

 

표준국어대사전 출처표기법

참고한 자료의 형태에 다라 출처표기 방법이 달라집니다.

이전에 안내드렸던 사항은 인쇄본에 대한 안내였으며,
실제로는 웹사이트를 참고하셨을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되어 웹사이트 출처표기 방법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온라인 사전 출처표기 방법]

온라인 사전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특정 발행 날짜가 없습니다. 이 경우 연도 대신 "nd"(날짜 없음)를 쓰고 검색 날짜를 포함합니다.

 

국립국어원. (nd). 사랑.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에서.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35977&searchKeywordTo=3에서 2022년 08월 26일에 검색함

부록 제외 검사

카피킬러에서는 목차/참고문헌 제외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부록에 대해선 별도로 제외가 되고 있지 않습니다.

참고 : 문서업로드ㅣ검사설정(인용/출처, 법령/경전, 목차/참고문헌)은 무엇인가요?

 

본 게시판은 출처표기 형식에 대해서만 묻고 답하는 공간으로 표절 검사 관련된 내용은 
카피킬러 고객센터(help@copykiller.com)로 문의주시면 빠르게 확인 도와드리겠습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