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chat GPT를 활용한 경우

APA 기준 ChatGPT 표기 방법을 클릭하면 예시와 함께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기관명에는 ‘OpenAI’와 사용한 버전의 연도를 작성합니다.

- 제목에는 ‘ChatGPT’, ‘[Large language model]’와 사용한 버전의 날짜를 작성합니다.

- 사용된 프롬프트는 본문에 함께 작성합니다.

- 프롬프트의 길이가 길 경우 부록에 전체 프롬프트를 별도 첨부합니다.

시카고 출처표기법 관련입니다.

1. 수정 날짜를 모를 경우

수정일을 모르는 경우 n.d로 표기합니다.

출처생성기에서 해당 칸을 빈칸으로 작성해주세요.

단, 페이지명, 사이트명, 접속일자, URL은 필수 작성 사항입니다.

 

2. PDF 파일의 출처표기

단행본이고, 출판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면(저자, 표제, 출판사, 인용면수 확인 가능) 단행본 기준으로 표기해주세요. 

단행본을 확인할 수 없다면 웹페이지 기준으로 표기해주세요.

책 전체 내용을 요약하여 인용하는 경우에 출처 표기법

페이지는 참고한 페이지 정보를 표기해주시면 됩니다.
만약 15페이지에서 350페이지까지 요약해서 인용하셨다면 말씀해주신 것 처럼 15-350으로 표기해주시면 됩니다.

 

문의사항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