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간접인용 내주 표기 질문 드립니다. (APA)

1. APA스타일의 본문 내주 형식은 (저자명, 발행연도)가 맞습니다.

APA스타일은 본문에서 간략하게 참고문헌을 표시하고 자세한 서지정보는 문서 말미 '참고문헌'에서 나열합니다.

마침표 이후 공백을 제거해주세요.

ex) 최인훈에 따르면, 휴전 소식을 접한 이명준은 고뇌에 빠졌으며 북으로 돌아갈 생각이 없다.(최인훈, 1976) ~~ 

 

2. 간접인용의 경우 아래와 같이 출처를 표기합니다.

홍길동(1979)에 의하면 ㅁㅁㅁㅁ으로, 기초 연구를 포함한다.

 

출처를 어떻게 작성해야하나요?

문의하신 언론보도피해 상담사례집의 저자는 언론중재위원회, 민간언론피해상담센터 상담교육팀으로 발행기관(출판사)는 언론중재위원회로 확인됩니다.

 

자료형태는 단행본으로 출처표기법에 맞춰서 작성해 주시기 바라며, 출처생성기를 이용하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출처표기 스타일에 관한 내용은 언급이 없으셔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Chicago 스타일의 출처표기법을 예시로 안내드리오니 참고 바랍니다.

 

한국어 Chicago 단행본 / 각주

언론중재위원회, 민간언론피해상담센터 상담교육팀, 언론보도피해 상담사례집 (서울: 언론중재위원회, 2008), 인용면수.

 

한국어 Chicago 단행본 / 각주-참고문헌

언론중재위원회, 민간언론피해상담센터 상담교육팀. 언론보도피해 상담사례집. 서울: 언론중재위원회, 2008.

 

문의사항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 1588-9784  평일 9:00~18:00 / 점심시간 (월~목 13:00~14:00, 금 12:30~14:00)

참고문헌과 내주 작성할 때, 보고서의 경우 저자명과 기관명.

출처표기 스타일에는 여러가지 스타일이 있고, 

기관마다 사용하는 양식이 다를 수 있기에 출처표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APA방식을 예로 들어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텍스트 내 인용의 경우 최대 2명의 저자를 나열합니다. 3명 이상인 경우 첫 번째에 "et al"을 사용합니다.

(류정희 et al.,2019)

 

참고문헌에는 최대 20명까지 기재해야 합니다.

류정희, 이상정, 전진아, 박세경, 여유진, 이주연, 김지민, 송현종, 유민상, 이봉주.(2019). 아동종합실태조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