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URL을 인용한 경우, 본문의 표기법

APA스타일은 내주-참고문헌 방식을 사용하며 자세한 내용은 출처표기법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표기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하단의 링크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표기법ㅣ각주, 미주, 내주의 표기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문의사항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조선왕조실록 인용

출처표기 형식에는 APA, Chicago 등의 style이 있으며 참고한 자료의 형태에 따라(웹페이지, 단행본 등) 출처표기 형식이 달라집니다.

특정 기관에 제출하는 문헌이라면 해당 기관의 인용방법을 참고하여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Chicago style의 출처표기 형식을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각주]

각주는 인용이 있는 페이지 하단에 각주 번호를 기재하고 규칙에 맞게 작성합니다.

아래의 예시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만든 조선왕조실록 웹검색 서비스에서 인용한 것입니다.

만약 웹서비스에서 인용한 것이 아니라면, 두 번째 각주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조선왕조실록'이 이탤릭체로 작성된 것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1. 조선왕조실록 중 "정조실록,"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6), 정종 2년 7월 2일 을축 15번 째, http://sillok.history.go.kr/id/kba_10207002_015.
  • 2. 조선왕조실록 중 "정조실록,"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6), 정종 2년 7월 2일 을축 15번 째.

 

[참고문헌]

각주와 마찬가지로 웹서비스에서 인용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한 예시입니다.

참고문헌은 목록 앞에 따로 번호가 붙지 않습니다.

'조선왕조실록'이 이탤릭체로 작성된 것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조선왕조실록 중 "정조실록." 정종 2년 7월 2일 을축 15번 째.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6, http://sillok.history.go.kr/id/kba_10207002_015.
  • 조선왕조실록 중 "정조실록." 정종 2년 7월 2일 을축 15번 째.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6.
apa 표기법에서 참고문헌 정리하는데 첫 단어가 아라비아 숫자일 경우 순서 배치를 어떻게 해야하나요?

참고문헌 나열에 대한 기본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참고문헌 나열은 기본적으로 저자의 성을 알파벳 순서로 나열합니다.
  2. 동일 저자의 여러 문헌은 연도가 오래된 것부터 최근 순으로 나열합니다.
  3. 동일 저자, 동일 연도 문헌이 두개 이상일 경우에는 제목 첫 단어의 알파벳 순으로 나열합니다. 

첫 단어가 아라비아 숫자로 시작하는 참고문헌이라면 저자 혹은 발행기관이 불분명하다는 뜻인가요?

학문적인 글쓰기에서 '참고문헌'은 신뢰할 수 있는 문헌이어야 합니다.

저자 혹은 발행기관이 불분명하다면 해당 문헌을 참고문헌으로 사용해도 되는가에 대한 문제를 먼저 점검해주세요.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