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위원회 심사중인 법률 의안 인용방법이 궁금합니다.

계류중인 법안은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예시를 참고하시어 작성 바랍니다.

 

대표 발의자명 발의, | “계류 법안명”, | 의안 # ,| (발의 날짜) [계류 중], | 인용 면#.

 

1. 발의자명을 먼저 쓰고 계류 법안명을 “ ” 안에 기재한 후, 의안 번호를 쓰며, 의안번호는 맨 앞에 몇 대 국회인지가 나타나도록 전부를 표기합니다.

2. 계류 중인 법안명과 발의 날짜를 쓰고 [ ] 안에 계류 중임을 표시합니다.

 

(예) 조경태 의원 발의, “동물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 1910712, (2014. 5. 22.) [계류 중], 3.

표 인용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법령이나 논문에 나와 있는 표에 대한 출처표시를 하셨다면 표절로 나오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2. 교육기관의 사이트를 올바르게 출처표기했다면 문제될 소지는 없습니다. 

 

표의 내용이 표절로 나오는 부분은 고객센터 측으로 문의하시면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

 

chicago 번역서 각주/참고논문

시카고스타일의 도서 출처표시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생성기를 활용할 경우 더욱 쉽게 출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Chicago 단행본 / 각주

홍길동, 홍길동전 (서울: 출판사, 1989), 100-120.

 

한국어 Chicago 단행본 / 각주-참고문헌

홍길동. 홍길동전. 서울: 출판사, 1989.

 

출처생성기 바로가기 >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