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인용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카피킬러 고객센터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은 재인용과 관련된 것으로 보입니다.

 

저자 김남희, 박경미가 2008년에 작성한 논문이 1차문헌이고, 1차문헌을 참고한 것은 2차문헌입니다.

이 때 '2차문헌에서 언급한 1차문헌의 내용'을 인용한다면 이는 '재인용'이 됩니다.

 

재인용은 어떤 분야에서나 권장하지 않는 인용 방법입니다. 가능하면 1차문헌을 직접 참고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김남희, 박경미 저자의 문헌을 확보하여 인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1차문헌의 소실이나 다른 이유로 1차문헌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재인용이 가능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고객센터로 문의해주시거나 질문과 답변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세요.

논문 출처 잘 모르겠어요

출처생성기 질문과 답변은 출처를 찾아드리고있지 않습니다 :)

다만, 카피킬러 표절검사 서비스를 사용하시면 해당 문구를 사용한 문서군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어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apa에서 '원서'와 '번역서'를 모두 참고한 경우 어떻게 해야 할 지 헷갈립니다...ㅜㅜ

작성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으로 명확히 답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번역서의 내용을 인용했는지, 원서의 내용을 인용했는지에 따라 작성자가 판단 하여 작성해주세요.

 

1. 번역서와 원서의 출판 년도가 같은 경우 

원서는 영문 표기, 번역서는 한글표기로 작성합니다. 출판연도는 그대로 작성합니다.

 

[역서 참고문헌 작성 예시]

Csikszentmihalyi, M.(2018). 몰입 flow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최인수 역. 서울: 한울림

Barna,G. (1997). 위기에 처한 목회자 비전은 있다. 탁영철 역. 서울: 베다니 출판사.

 

[역서 내주 예시]

(Csikszentmihalyi, 2018)

(Barna, 1997)

 

 

2. 원문과 번역서의 제목이 다른 경우

각각 별도로 참고문헌에 작성하기 때문에 질문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