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DOI와 DOI없는 경우(APA 7판 기준으로)

1. DOI가 있는 경우 함께 표기하는 것을 우선 권장합니다.

 

2. 논문이 검색으로 확인되기 어려운 경우 URL을 추가 작성하실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학위, 학술논문은 URL 표기를 뒤에 덧붙여 사용하는분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이는 저자의 판단에 따라 작성할 수 있겠습니다. 

 

3. 볼드처리는 APA 출처표기 방법이 아닙니다.

국내에서는 출처표기를 활용해 응용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학교나 소속된 기관이 사용하는 표기방법을 따라 작성하셔도 무방합니다.

책으로 된 사전은 어떻기 출처 표기 하나요?

사전의 경우 도서-단행본 형식으로 출처를 남겨주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출처 표기법인 APA에서 단행본 출처표기법 링크 남겨드리니 확인 부탁드립니다 :)

 

APA 스타일 단행본 출처표기법 >

정보공개청구로 전달받은 내용은 어떻게 표기해야 하나요?

정보공개청구 사이트를 통해 자료를 인용하셨다면 웹페이지 형태로 출처 표기하는 방법을 권장 드립니다.

 

아래에 APA스타일의 웹페이지 형태에 대한 예시 작성 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웹페이지가 아닌 다른 형태로 인용하였다면 출처표기법과 출처생성기를 참고하여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APA 스타일의 웹페이지 형태 작성 예시

 

한국어 APA 웹페이지 / 내주

(정보공개청구, 2021)

 

한국어 APA 웹페이지 / 내주-참고문헌

법무부 . (2021). URL.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