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과거논문 출처 참고문헌 표기방법

카피킬러가 인식(시카고, 벤쿠버, APA, MLA)하지 않는 출처 표기 스타일인 경우 출처를 표기한 경우라도 표절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안내드린 출처 표기 스타일에 맞추어 출처 표기를 수정하면 시스템에서 인식하여 정상적으로 출처인식이 가능하오니 이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더불어 과거 학위 논문을 검사한 경우 검사문서의 발행 연도 이후 문서를 제외처리 해주셔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자주묻는 게시판을 통해서 확인 가능하오니 함께 확인 바랍니다.

 

*추천팁ㅣ동일한 문서가 비교되어 표절률이 높게 나와요. (발간/게재된 문서 검사)

 

만약 출처 표기법 변경이 어려운 경우,

아래 고객센터 번호로 연락주시거나 이메일로 문의주시면 추가 조치드릴 수 있는 내용 확인하여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개인 면담 자료는 어떻게 넣나요?

인터뷰 대상자나 설문조사 응답자의 경우 인터뷰 대상자를 인용할 때 특정한 형식의 인용문을 포함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인용한 기록이나 답변을 부록에 포함한 후, "(부록A 참조)"와 같이 처음 인용할 때 부록을 언급해주세요.

 

1. 익명의 응답자인 경우 등 구별이 중요하지 않은 경우 간단하게 참조할 수 있습니다.

 

예시) 

한 참가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내용

 

(남성, 35세)

 

2. 특정 참가자를 언급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 가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인터뷰 대상자 A는 ...

홍길동 이라는 참가자(전체에서 사용된 이름은 가명임)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이거 꼭 네 개 중에 하나 선택해야 하는건가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서 제공하고 있는 네 가지 스타일은 전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출처표기 스타일입니다. 
하지만 반드시 네 가지 스타일을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문헌을 출판하는 곳이나 주제분야에 맞게 스타일을 선택하여 출처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스타일에 맞춰 출처를 표기하는 이유는 독자에게 참고문헌, 기타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특정한 스타일의 출처표기 방법을 사용하라고 강요할 수 없습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