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내주 표기

무하유 고객센터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출처 생성기 질문과 답변 게시판은 출처 표기에 대한 문의 게시판입니다.

카피킬러 검사결과 및 이용에 관련된 질문은 무하유 고객센터>로 문의해 주세요.

인용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카피킬러 고객센터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은 재인용과 관련된 것으로 보입니다.

 

저자 김남희, 박경미가 2008년에 작성한 논문이 1차문헌이고, 1차문헌을 참고한 것은 2차문헌입니다.

이 때 '2차문헌에서 언급한 1차문헌의 내용'을 인용한다면 이는 '재인용'이 됩니다.

 

재인용은 어떤 분야에서나 권장하지 않는 인용 방법입니다. 가능하면 1차문헌을 직접 참고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김남희, 박경미 저자의 문헌을 확보하여 인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1차문헌의 소실이나 다른 이유로 1차문헌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재인용이 가능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고객센터로 문의해주시거나 질문과 답변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세요.

설문지, 질문지 자료인용 방법

카피킬러는 설문지를 표로 작성한 경우

출처표기를 하여도 텍스트만 추출하여 나열 후 검사하므로 6어절/1문장 이상 연속적으로 일치도를 보이면 표절로 인식됩니다. 

 

문의하신 공공기관에서 조사한 설문지를 인용한 경우 표절의심문장으로 분류되지만 

평가자는 단순히 표절률 수치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원본 내용도 함께 검토를 하므로 올바른 출처표기를 하시면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제출해야하는 문서로 기관이나 학교의 표절률 기준보다 높아서 표절률을 낮춰야 한다면 

출처표기한 설문지는 이미지 파일로 문서에 삽입 후 표절검사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사항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1588-9784, 평일 09:00~18:00, 점심시간 월-목 13:00~14:00, 금 12:30~14:00)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