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내주 개정판 단행본 APA 스타일

판수표시를 할 경우에는 도서명 다음에 마침표(.)를 찍고, 한서의 경우 '제○판', '제○개정판', '제○개정증보판' 이라고 쓰며, 

양서의 경우는 제목 다음에 마침표(.)를 찍은 다음 'Rev. ed.' 혹은 '2nd ed.', '3rd ed.' 등으로 작성 하시기 바랍니다.

이때 'Rev. ed.'를 쓸 때에는 반드시 대문자로 시작하여야 합니다.

APA 번역서 참고문헌 기재 방법

1. 원문이 아닌 번역서만을 참고하여 작성하셨다면 번역서의 정보를 토대로 참고문헌을 장석하는 것이 맞습니다.

Csikszentmihalyi, M.(2018). 몰입 flow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최인수 역. 서울: 한울림

 

2. 특별판과 초판의 내용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특별판의 출판 정보를 그대로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학위논문에 미발행을 쓰는 경우를 봤는데 기준을 알려주세요.

Chicago Style의 참고문헌 중 석사학위 논문 출처표기 방식은 아래의 표기로 권장합니다.

 

최민철. “생체인증기술을 적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출처표기는 독자가 출처를 확인하기 쉽게 작성하는 것을 권장하며, 석사학위 논문의 경우 대학원명까지 기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미공개 논문의 경우 석사학위명 앞에 미공개로 표기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ex) 최민철. “생체인증기술을 적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연구.” 미공개 석사학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미발행 및 대학교명만 표기한 방식은 일반적으로 권장하는 출처표기 방식은 아닙니다.

 

문의하신 포맷은 제출 기관의 출처표기 방식을 따라 작성한 경우일 수 있으며, 
출처표기는 문서를 제출하는 기관의 양식이 있다면 해당 기관의 출처 표기방식에 따라 작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