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문장앞으로 올때 인용구 외국인 4 명이상일때

1. 저자가 3인 이하일 경우 저자명을 모두 기재하고 4인 이상일 경우 대표저자만 기재합니다.

2. 국내문헌의 경우 '외', 해외문헌의 경우 'et al.'을 사용합니다.

3. 영어 이름일 경우 성(last name)만 기재합니다.

 

예시)

단일저자

홍길동(2013)

brown(2013))

 

2~3인 공저

홍길동, 고길동(2013)

brown, loser(2013)

 

4인 이상 공저

홍길동 외(2013)

brown et al.(2013)

 

통계청 보도자료 인용

인용하고자 하는 문서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사용하고자 하는 출처표기법이 무엇인지 확인되지 않으면 표기 방식에 대한 안내가 어렵습니다.

문의하신 출처표기 방식으로 보아 웹페이지에서 다운받은 문서의 페이지를 표기하신 것으로 보이는데요.

해당 문서의 작성자 또는 작성처가 명확하다면 문서를 기준으로 출처표기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과거논문 출처 참고문헌 표기방법

카피킬러가 인식(시카고, 벤쿠버, APA, MLA)하지 않는 출처 표기 스타일인 경우 출처를 표기한 경우라도 표절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안내드린 출처 표기 스타일에 맞추어 출처 표기를 수정하면 시스템에서 인식하여 정상적으로 출처인식이 가능하오니 이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더불어 과거 학위 논문을 검사한 경우 검사문서의 발행 연도 이후 문서를 제외처리 해주셔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자주묻는 게시판을 통해서 확인 가능하오니 함께 확인 바랍니다.

 

*추천팁ㅣ동일한 문서가 비교되어 표절률이 높게 나와요. (발간/게재된 문서 검사)

 

만약 출처 표기법 변경이 어려운 경우,

아래 고객센터 번호로 연락주시거나 이메일로 문의주시면 추가 조치드릴 수 있는 내용 확인하여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