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번역서 MLA 형식의 내주와 참고문헌 작성방식이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 한국 학술 글쓰기에서는 역자 표시에 번역 또는 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작성해주신 내용을 토대로 올바른 표기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내주

(Robbins et al, 양동훈 외 번역, 인용한 페이지 쪽)

 

참고문헌

Stephen P. Robbins et al. 경영학원론. 양동훈 외 번역, 제10판, 시그마프레스, 2018.

 

통계분석 작성시

양식과 무관하게 일반적으로 이탤릭체로 작성합니다.

참고문헌 작성 방법

출처표기 양식은 스타일마다, 참고한 자료의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APA스타일 기준으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참고한 자료들의 모든 출처를 자료의 형태에 맞게 작성해주세요.
 

1. 도서

  • 단행본
    저자명. (출판연도). 제목(판). 발행처
  • 단행본의 일부(다양한 저자의 글이 포함된 책에서 특정 장의 저자의 글을 인용할 경우)
    저자명. (출판연도). 제목. 편집자(편저), 표제: 부제(pp. 인용 면수). 출판사명.

 

2. 시청각 자료

  • 유튜브 혹은 그 외 스트리밍 비디오
    저자명. [채널명]. (게시일). 비디오 제목[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명. URL
  • 영화 혹은 다큐멘터리
    감독이름(감독). (연도). 영화 제목[영화]. 제작사.

3. 웹페이지

  • 저자 확인이 가능한 경우
    저자명. (게시일). 웹페이지 제목. 사이트명. URL
  • 저자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웹페이지 제목. (게시일). 사이트명. URL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