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MLA 형식 내주 질문

MLA 스타일의 웹사이트 내주 출처표기 방법은 (사이트명)으로 기재해 주시기 바라며 아래 예시를 참고해 주세요.

 

[MLA 웹페이지 내주 출처표기 예시]

예시1. (통계청 블로그)
예시2. (NASA) 

 

카피킬러 출처생성기를 이용하면 쉽게 MLA 스타일의 내주와 참고문헌 출처 표기 방법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문의사항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1588-9784, 평일 09:00~18:00, 점심시간 월-목 13:00~14:00, 금 12:30~14:00)
 

자료 제목에 괄호가 들어가 있는 경우에 대해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카피킬러 고객센터입니다.

 

참고한 자료의 형태를 기입해야 하는지, 자료 제목에 괄호가 들어갈 때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를 문의해주셨습니다.

 

1. 참고한 자료의 형태를 기입하는 것

참고문헌은 작성자가 참고한 문헌들을 밝혀 작성한 문서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작성된 문서를 보는 독자가 참고문헌 정보를 쉽게 확인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참고문헌의 정보는 최대한 상세하고 다른 참고문헌과 베타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참고한 자료의 형태에 따라 페이지와 같은 위치 정보가 다를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자료의 형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면 최대한 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자료 제목에 괄호가 포함된 것

1번에서 설명드린 것과 마찬가지로, 독자가 참고문헌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자료의 제목을 분명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시하신 인용 예제를 보면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서 사용하는 스타일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제목을 분명이 할 수 있도록 따옴표를 사용하거나 다른 특수기호를 사용해서 자료의 제목과 인용 정보를 구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추가 다른 문의사항은 질문과 답변 게시판이나 고객센터 (1588-9784)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인용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카피킬러 고객센터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은 재인용과 관련된 것으로 보입니다.

 

저자 김남희, 박경미가 2008년에 작성한 논문이 1차문헌이고, 1차문헌을 참고한 것은 2차문헌입니다.

이 때 '2차문헌에서 언급한 1차문헌의 내용'을 인용한다면 이는 '재인용'이 됩니다.

 

재인용은 어떤 분야에서나 권장하지 않는 인용 방법입니다. 가능하면 1차문헌을 직접 참고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김남희, 박경미 저자의 문헌을 확보하여 인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1차문헌의 소실이나 다른 이유로 1차문헌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재인용이 가능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고객센터로 문의해주시거나 질문과 답변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세요.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