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출처표기 유형 관련 질문드립니다.

'간행물'은 간행한 출판물을 뜻합니다. 

최근에는 간행물의 의미가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대체할 수 있는 '온라인 신문 기사' 유형이 있기 때문에 간행물 보다는

'온라인 신문 기사'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서평 대상을 직접 인용할때

출처는 문서 작성시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본인이 작성한 것 처럼 사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동일한 문학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밝히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다만 카피킬러를 통해 문서 검사시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동일한 문장을 찾아 검사하기 때문에 표절률이 높아질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출판사가 어디인지 잘 모르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인용하는 리포트가 매년 정기적으로 간행되는 문서라면 정기간행물 형태로 출처 표기 하는 방법을 권장 드립니다.

정기간행물 형태에서는 저자,표제,간행물명,권,수록면수가 필수 사항이고 출판사 파악이 불분명할 때는

생략 후 출처 표시 하시기 바랍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