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영어로 된 자료를 직접 번역하여 논문 내에 인용하는 경우 표기법 질문드립니다.

직접 번역문의 경우 정해진 출처표기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번역서의 작성방법을 참고해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만약 소속된 학교/기관에서 활용중인 작성법이 있다면 그대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아래 양식은 APA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역자명은 괄호 안에 표시합니다.
  • 번역서의 일부를 인용할 경우 단행본의 일부 표시 방법을 참고하여 작성합니다.

 

한국어
저자명 (출판연도). 표제: 부제 (번역자, 역). 출판사. (원본 출판 2020년)

 

영어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work: Capital letter also for subtitle (initials, Last name, Trans.). Publisher. (Original work published Year)

 

예시

  • 미국심리학회 (2015). APA 논문 작성법. (강진령, 역). 학지사. (원본 출판 1990년)
  • Plato (1989). Symposium (A. Nehamas & P. Woodruff, Trans.). Hackett Publishing Company. (Original work published 2019)
참고문헌

출처생성기를 이용하시면 보다 간편하게 출처 생성이 가능합니다.

출처표기 스타일 및 자료형태를 선택하시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 후 출처 생성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알맞은 표기의 출처가 생성됩니다.

 

[하이퍼링크] 를 클릭하셔서 출처 생성기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을 미주로만 작성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카피킬러 고객센터입니다. 

연구하는 학문분야에 따라 사용되는 출처표기법이 다르기 때문에 미주로 출처표기 작성을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문서 제출하는곳으로 사용하는 출처표기 방법을 확인 후 출처표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별도의 출처표기 기준이 없다면 카피킬러에서 인식하는 4가지 출처표기법으로 작성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카피킬러에서 인식하는 출처표기법]

- Chicago style : 인문학, 자연과학, 사회과학_가장 보편적인 양식
- MLA style : 인문과학
- APA style : 사회과학
- Vancouver style : 생의학학술지
올바른 형식에 맞게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하며, 한꺼번에 참고 문헌을 작성하는 방법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주석 표기 방법에 대해서는 하단의 링크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표기법ㅣ각주, 미주, 내주의 표기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문의사항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