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통계 자료(APA 형식)

문의하신 출처 표기 방식은 웹 사이트 자료 인용 시 작성한 참고문헌의 출처로 보이지만 APA 스타일의 웹 사이트 출처 표기 방식과 차이가 있습니다.

 

자세한 출처 표기 방법은 카피킬러 출처표기법을 참고해 주시고,

출처표기법이 어렵다면 출처생성기를 활용하시면 작성에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카피킬러 출처생성기 바로가기

 

문의사항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여러개의 자료에서 공통적인 내용이 나온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1개의 인용문의 출처가 다수일 경우 최초의 내용을 언급한 자료를 원문으로 보고 출처를 기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러나 문의하신 사항은 여러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나왔다는 언급이 필요하여 출처표기를 원하시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만약 공통적인 의견이 나온 내용에 대한 언급이 필요하여 작성해야 한다면

공통적인 의견을 포함했다는 내용을 본문에 기재하고, 각주는 1개만 작성 후 참고문헌에 나머지 출처 정보도 추가로 기재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정된 분량이 있는 과제로 평가자의 인용/출처 표기에 관한 별도의 권고사항이 없다면 위 안내대로 출처를 작성하셔도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주에서 보충주(내용주 성격) 작성시 보충주의 출처 표기법(시카고 스타일)

<출처>는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표기방법입니다.

다만, 소속된 학교/기관에서 해당 출처표기 방법을 활용중이시라면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대부분의 출처표기법은 출처 작성 시 ()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1. 각주 내에도 출처를 작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문장 끝에 ()를 활용합니다.

2) Bass continuo[바소 콘티누오] 통주저음(thoroughbass) : 바 로크 시대에 널리 행해졌던, 특수한 연주형태를 지닌 저음 파트를 말한다. 당시의 건반악기 주자는 주어진 저음부의 선율 위에 즉흥적으로 오른손 성부를 만들면서 반주했다. (삼호뮤직. (2002).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서울)

 

2. 여러 인용을 결합하는 경우 ;로 구분합니다.

삼호뮤직. (2002).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서울; 삼호뮤직. (2002).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서울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