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출처생성기
질문과 답변안녕하세요 카피킬러 고객센터 입니다.
문의주신 표기방법은 간접인용 내주 표기 (내주+참고문헌) 방식이신듯 힙니다.
내주 표기의 정석적인 방법은 ' 박수진(2018)에 의하면 ~ 하였다. ' 가 아니라
앞부분에 '저자(연도명)에 의하면'이라고 표현 했더라도 인용한 문장의 끝에 (박수진,2018)로 표기 하는 것입니다.
카피킬러는 정석적으로 표기 된 부분들은 인용/출처 표기 문장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내주 표기 시 본문 작성 시에도 이와 같이 일관성 있게 작성 하시면 됩니다.
카피킬러 고객센터 자주묻는 질문 을 참고 하시면 작성에 도움이 되실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카피킬러 고객센터입니다.
논문의 통권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과 번역서 출처를 표기하는 방법을 문의해주셨습니다.
특정 표기 스타일을 알려주시지 않아서 질문해주신 내용과 가장 유사한 APA 스타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만약 작성하는 논문을 제출하는 곳에서 특정한 인용 스타일이 있다면 해당 스타일을 따라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카피킬러에서 안내해드린 내용은 참고 용도로만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1. 논문의 통권 정보
APA 스타일로 작성한 참고문헌입니다. 학술지명의 이탤릭체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예시]
유민석. (2015). 혐오발언에 기생하기: 메갈리아의 반란적인 발화. 여/성이론, (33), 126-152.
2. 번역서 출처 표기
번역서인 것을 반드시 표시할 필요 없이 참고하신 단행본 표기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단행본명의 이탤릭체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예시]
우에노 치즈코. (2016).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서울: 은행나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질문과 답변 게시판이나 고객센터 (1588-9784)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만한 자료의 정확한 정의가 필요합니다 :)
일반적으로 내가 작성한 문장이 아닌 경우는 저자-독자간의 오해가 없도록 인용표시를 남겨야합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