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바로가기 출처생성기

인용 문장의 출처 작성하기 참 골치 아프시죠?
난해하고 세세한 부분에서 실수하기도 쉬워서 잔손이 많이 가셨을텐데요. 카피킬러 출처생성기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출처 작성은 카피킬러 출처생성기에 맡기세요. 출처생성기의 안내에 따라 인용문의 저자, 표제 등을 입력만 하시면, 자료 형태별로 출처표기법에 맞게 각주, 내주, 참고문헌용 출처표기를 모두 자동생성 해드립니다.
회원님은 생성된 결과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시면 됩니다.

출처표기법 가이드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예전에 쓴 논문을 발전시킨 논문에서 출처표기

과거에는 크게 문제 삼지 않았지만 지금 자기표절은 매우 민감한 사안입니다. 
연구윤리가 강조되면서 자기표절에 대한 기준도 엄격해지고 있기 때문에 자신이 썼던 논문을 발전시킨 글이어도 반드시 출처표기를 해야 합니다. 
만약 출처표기를 하지 않으면 자기표절로 의심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출처표기를 했다고 해서 자기표절 문제를 완전히 피할 수 없습니다. 
새로 작성하는 논문의 내용이 과거의 자신에 논문보다 발전되었고 가치가 있어야 논문으로 인정 받을 수 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출처 표시+ 변경금지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는데 습니다를 이다로 변경하는것도 안되나요?

구체적인 자료확인 없이는 답변이 어렵습니다.

 

다만 변경 금지의 경우 해당 자료의 내용을 크게 곡해하지 아니함을 의미하며

습니다를 이다로 변경하는 수준은 가능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표 출처

1. 표의 내용을 스크린샷으로 찍어 이미지로 붙여넣으시고 하단에 출처표시를 하면 표절검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특히나 하나의 출처로 묶을수 없는 표(선행연구 정리 등)은 이미지로 붙여 넣으실 것을 권장드리고 있습니다.

 

2. 논문의 내용을 직접 인용하는 경우라도 일반 인용과 동일하게 내주 혹은 각주로 출처를 표기해주시면 됩니다.

출처 표기시 각 출처표기 스타일과 자료에 맞게 사용해주세요.

 

출처 표기에 대해 궁금하실 경우 출처표기법출처생성기를 이용해주시면 보다 쉽게 출처 작성이 가능합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