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출처생성기
질문과 답변카피킬러는 문서의 텍스트를 추출하여 표절 검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한 문장으로 이어서 쓰실 경우 한 문단으로 인식 될 수 있습니다.
하여, 이어서 작성하신 문단 끝부분에 출처표기를 하셨다면 그 문단 전체가 출처표기 문장이 될 수 있습니다.
각주에 대한 문장만 출처표기 원하실 경우
문장 전체를 한줄로 이어쓰지 마시고 줄바꿈 (enter)으로 인용된 문장만 따로 작성하여 출처표기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사항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라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영문 APA 양식의 경우 성이 같으면 이니셜까지 표기하여 다른 저자임을 알리고 있으나,
모든 이름이 완벽하게 동일한 동명이인의 경우에는 별도의 구분 표기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동명이인의 두 논문이 만약 같은 해에 출판된 것이라면, 아래와 같이 출판연도 뒤에 a/b등을 붙여 구분할 수 있습니다.
홍길동. (2020a). 연구 제목 A. 출판사.
홍길동. (2020b). 연구 제목 B. 출판사.
본문 인용: (홍길동, 2020a) / (홍길동, 2020b)
다만 말씀하신 사례에서는 서로 다른 해에 출판된 다른 제목의 논문이므로, 별도의 구분 표기 없이 작성하셔도 무방합니다.
김성훈(2021). 개별 맞춤형 학습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이분된 지식 추적 모델 개발. 국내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김성훈(2024). IRT 능력 분포 추정을 위한 정규적 방법과 비모수적 방법의 기능 비교. 교육평가연구, 37(4), 773-801.
본문 인용: (김성훈, 2021) / (김성훈, 2024)
APA의 보도자료 출처 표기법 안내드립니다.
인용 단계:
예시: Apple. (2021, 1월 27일). Apple, 1분기 실적 발표 [보도 자료]. 다음에서 검색됨 https://www.apple.com/newsroom/2021/01/apple-reports-first-quarter-results/.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