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올바른 출처표기는 표절 예방 수단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가 주제와 관련한 폭넓은 독서를 통해 풍부한 지식을 기초로 논리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는 논거 강화 수단이기도 합니다.
카피킬러가 인용출처 표기법에 관한 정보를 모두 모아 여러분의 성공적인 글쓰기를 돕겠습니다.
내주로 표기할때에는 각 연도를 쉼표로 나열합니다.
(2015, 2016, 2017)
참고문헌 작성시, 각 연도를 별도로 작성하시거나 하이픈을 이용해 작성합니다.
ABC Corp. (2015). 분기보고서: 1분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 https://dart.fss.or.kr
ABC Corp. (2016). 분기보고서: 1분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 https://dart.fss.or.kr
ABC Corp. (2017). 분기보고서: 1분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 https://dart.fss.or.kr
(2015-2017)
직접인용과 간접인용에 대한 아래의 자료를 참고해주세요:)
http://edu.copykiller.com/edu-source/data/?mod=document&uid=91
참고한 자료의 형태가 웹페이지라면,
사이트 내의 페이지가 같다면 문단의 마지막에 출처를 표시해주시고 페이지가 다르다면 문장마다 출처를 표시해주세요.
Chicago 스타일 웹페이지 / 내주 출처표기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한국어 Chicago 웹페이지 / 내주
(사이트 접속일자)
한국어 Chicago 웹페이지 / 내주-참고문헌
"페이지." (접속일자). 사이트. n.d. 수정, url.
APA 스타일은 내주-참고문헌 방식을 사용하며, 본문에서 인용한 부분을 내주로 간략하게 표시하고 완전한 인용정보는 참고문헌에서 찾는 방식입니다.
카피킬러 출처생성기를 이용하셨다면, 본문 내주와 참고문헌의 출처표시 형태를 생성해주기 때문에 참고문헌 출처표시 형식을 '각주'로 사용하셨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주'를 사용하신다면 Chicago 스타일의 출처표시를 권장드립니다.
서비스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 2020.12.21 00:00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