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과 답변
질문이 많아 정말 죄송합니다.
공공기관 간행물은 정기발행여부에 따라 단행본 또는 보고서로 구분한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정기발행이 아닌 경우 -> 단행본
정기발행일 경우 -> 보고서
로 작성하였는데,
애매한 참고문헌들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1.
에서 정리기술지침을 참고하였는데, 이를
1)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2021). 국회 보존기록물 정리·기술 지침[2판] 제1부: 국회 생산기록 정리·기술 지침. 국회기록보존소. https://archives.nanet.go.kr/bbs/bbsView.do?curr_menu_cd=0113050000&pageIndex=2&bbs_id=4&bbs_no=56&search_type=all&search_text=&order_by_type=dateDesc&recordCountPerPage=10
보고서형식으로 기재하였는데, 등록번호는 없으며, 맨마지막 페이지에 작성자, 검토자, 결재자가 모두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작성자를 위와 같이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로 해도되는지 궁금합니다.
2. 대법원 법원도서관. (2022). 2023년도 법원도서관 DB구축 사업(판례 등) [제안요청서]. 나라장터. https://www.g2b.go.kr/
-> 해당 자료는 [보고서]에 속하나요? [웹사이트]에 속하나요?
[웹사이트]는 참고문헌페이지에 아래와 같이 기재하고하고 형식이 다른데, 보고서는 아닌 것 같아 여쭤봅니다.
1) 국가기록원. 검색일자: 2024.06.29. https://www.archives.go.kr
3. 사이트는 같은데 검색일자가 다른 경우
1) 국가기록원. 검색일자: 2024.06.29. https://www.archives.go.kr
2) 국가기록원. 검색일자: 2024.09.14. https://www.archives.go.kr
위와 같이 각주를 달았을 때.
참고문헌에는 어떻게 기입해야하나요? 다 기입해야하는 것인지 아니면 하나만 작성해도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4. 공공기관에서 발행하는 간행물을 인용(각주)할 때 페이지 수가 나와있지 않으면 적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1. 작성자 표기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의 "정리·기술 지침"처럼 작성자, 검토자, 결재자가 모두 명시된 경우:
작성 책임이 기관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발행기관(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을 저자로 기재해도 무방합니다.
작성자, 검토자, 결재자는 실무 담당자로 보며 참고문헌에 포함하지 않아도 됩니다.
2. 제안요청서 분류
대법원 법원도서관의 제안요청서처럼 특정 사업을 위한 자료는 보고서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웹사이트는 자료가 단순히 게시된 플랫폼일 뿐, 보고서의 성격이 유지되므로 "보고서" 형식으로 기재하세요.
3. 같은 사이트, 다른 검색일자
각주에 검색일자를 다르게 기재했더라도, 참고문헌에는 하나의 출처만 작성하면 됩니다.
가장 최근 검색일자를 기준으로 작성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4. 페이지 수 누락
공공기관 간행물에서 페이지 번호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 참고문헌에 페이지 정보를 생략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각주에서 특정 페이지를 지칭해야 할 경우, 해당 자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으로 보완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