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질문과 답변

질문과 답변

조회 96

답변해주신 내용에 추가 질문이 있어서 글 올립니다.

 

1. 시카고 양식에서는 언어별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고, 알파벳 순서에 따라 나열합니다.

 

-> 각 나라의 알파벳 순을 말씀하시는 건가요?(예1) 아니면 세 국가의 저자를 영어로 했을 때 알파벳 순(예2)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예1)

영어(ABC)

한글(가나다)

일본(あいう)

 

예2)

Adam

Nakamura

Park

 

2. 잡지, 학술지 논문, 도서 등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리스트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논문 주제에 따라 별도 섹션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면 구분하여 나열할 수 있습니다.

 

-> 그렇다면 도서나 논문은 물론 웹사이트나 인터넷 기사, 유튜브 등 전부 포함해서 하나의 리스트로 나열하는 건가요?

 

3. 논문에 URL을 표기할 때 유료 열람 문제
유료 열람이 필요한 논문이라도 접근 가능한 URL을 제공하는 것이 시카고 양식의 원칙입니다.


-> 접근 가능한 url의 범위가 잘 이해가 안 됩니다. 일례로 제가 보내드린 url은 접속한 뒤 '원문 보기' 버튼만 누르면 바로 해당 논문으로의 접속이 가능한데, 이건 부적절한 건가요?

 

감사합니다.

 

추천 34
공유하기
블로그 페이스북
시카고 양식 답변 드립니다.
2024-12-05

1. 참고문헌은 모든 언어를 영어 알파벳 순서로 통합합니다.
2. 자료 유형에 상관없이 하나의 리스트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이나, 필요하면 유형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3. 유료 열람 논문이라도 DBpia URL처럼 공식적인 접근 경로를 제공한다면 적합합니다.

내 궁금증에 대한 더 정확한 답변을 원하시면 지금 질문해 보세요! 질문하러가기

출처표기법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