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과 답변
안녕하세요.
각주 및 참고 문헌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한국어 논문을 적고 있고 시카고 양식으로 쓰고 있습니다. 한, 영, 일의 문헌이 사용되었습니다.
1. 일본 문헌의 경우는 그대로 시카고 양식에 통일 시켜야 할까요? 아니면 『』등을 이용한 일본식 인용방식을 써야 할까요?
그리고 한글이라든지 영어라든지 번역을 거쳐야 할까요? 예) 田中 -> 다나카 or Tanaka
여기서 영어로 바꾸어야 한다면 성과 이름의 순서도 영어식으로 써야 할까요?
2. 참고문헌에 자료들을 나열할 때 순서가 국내 일본 영어 순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3. 참고문헌은 잡지와 학술지 논문을 구분해서 나열해야 할까요?
3. 인터넷에서 확인한 모든 자료(유튜브, 기사, 논문 모두)는 접속일자 포함시켜야 할까요? 다른 곳에선 접속일을 명시하는데 카피킬러에서는 해당 내용이 없기에 여쭙니다.
4. 한국에서 발행한 일본인의 일본어 논문의 경우, 저자를 한글로 적어야 할까요 원어인 일본어로 적어야 할까요?
시카고 양식은 참고 문헌과 각주에서 여러 언어를 사용할 경우에도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습니다.
1. 일본 문헌의 인용 및 저자 표기
시카고 양식에서는 모든 문헌을 일관되게 작성해야 합니다.
따라서 일본 문헌도 시카고 양식에 맞추어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일본식 인용부호(『』)가 아닌 시카고 양식에서 지정된 형식을 따릅니다.
저자의 이름은 원어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즉, 田中는 그대로 표기하되, 번역본이 있다면 괄호 안에 병기할 수 있습니다.
예) 田中健太郎 (Tanaka Kentaro)
영어 논문의 경우 영어식 이름 순서(Tanaka, Kentaro)를 적용
한국어나 일본어 논문에서는 원어 표기 방식을 따르므로, 원래 이름 순서(성 + 이름)를 유지합니다.
영어 논문이라면 이름 순서를 영어식으로 변경합니다.
2. 참고문헌 나열 순서
시카고 양식에서는 언어별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고, 알파벳 순서에 따라 나열합니다.
영어 문헌 (A-Z 순)
한글 문헌 (가나다 순)
일본 문헌 (아이우에오 순)
3. 참고문헌에서 자료 유형별 구분
잡지, 학술지 논문, 도서 등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리스트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논문 주제에 따라 별도 섹션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면 구분하여 나열할 수 있습니다.
4. 인터넷 자료의 접속일자 명시
시카고 양식에서는 접속일자를 명시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특히 동적인 자료(웹사이트, 유튜브, 기사 등)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내용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기재합니다.
5. 한국에서 발행된 일본어 논문의 저자 표기
한국에서 발행된 일본인의 일본어 논문이라도, 원어인 일본어로 저자 이름을 표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