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과 답변
3개의 자료를 활용해 하나의 표를 완성하여 논문에 작성하는 경우 출처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표 예시 -
구분 2021 2022 2023
A 1 2 3
B 1 2 3
C 1 2 3
출처: 교육부, 2023, 특수교육통계, p. 80-126; 교육부, 2022, 특수교육통계, p. 76-118; 교육부, 2021, 특수교육통계, p. 80-126
예시와 같이 표 아래에 출처를 표기하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혹시 틀리다면 APA 양식에 맞춰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 부탁드립니다.
1. 내주를 사용하는 경우 아래 예시처럼 문장에 출처를 표시한 뒤 참고문헌에 상세한 출처내용을 작성하도록 합니다.
다만, 한국에서는 일상적으로 노트.의 영역에 출처를 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질문주신 분이 작성하신 내용대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세개 문헌의 내용을 정리해서 작성하신 경우
A,B,C에서 발췌한 내용을 정리해 작성 함 이라고 노트.에 표기하실 수 있습니다.
[예시]
표 1(교육부, 2023, pp.80-126)은 5학년 남학생이 상당히 많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
표 1
구분 2021 2022 2023
A 1 2 3
B 1 2 3
C 1 2 3
노트. 교육부의 특수교육통계, 2023, pp.80-126에서 발췌.
2. 1개의 내주안에 여러개의 문서를 표시하는 경우입니다. 저자가 같은 경우, 다른 경우를 구분해서 사용해 주세요.
(교육부, 2023,2022,2011)
(교육부, 2023; 저자A, 2023; 저자B, 2015, 2017) .
같은 연도 내에 같은 저자의 책을 인용하는 경우 연도뒤에 임의의 알파벳 기호를 덧붙여 구분합니다.
(교육부, 2018a)
(교육부, 2018b)
